2023. 2. 19. 11:21ㆍ비즈니스
몇 년 전, 동생과 함께
정부에서 주관하는 창업지원사업에 지원하여
운 좋게 선정된 적이 있다.
현재는 초기창업패키지나 창업사관학교 등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는 예비창업자를 위한 지원사업이다.
내가 꿈꾸는 사업의 첫 시작이었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 내가 원하는 사업을 실제 시행해 본다는 것은
엄청난 기회이고, 현재까지도 정말 감사한 일이다.
내가 정답이 아닐 수 있지만,
선정된 합격자로서 내 경우에 대해 참고 삼아 풀어보려고 한다.
그 첫 번째로, 그 당시 내가 창업 정부 지원 사업에 선정될 수 있었던 것 중 가장 주요한 요인은
주제선정이었던 것 같다.
주제 선정이 반이라고 생각했고, 주제에 많은 고민을 쏟았다.
그리고 주제는 물론 자신이 원하는 사업에 대해 서술하면 되지만
민간 기업의 창업지원사업이 아닌 정부에서 주관하는 창업지원사업이라면 선정이 잘되는, 이른바 선호하는 주제가 있을 것이라 판단했고,
그게 적중한 것 같다.
내 노하우를 요약하자면, 주제에는 기술성, 현실성, 사회적인 이슈의 3가지가 들어가면 된다.
1. 기술성
기술성은 필수적이다.
평가항목에도 들어가기 때문에 무엇이든 기술을 접목한 아이템 선정이 필요하다.
특히나 최근 대두되는 기술이라면 더욱 좋다.
가장 좋은 것은 본인이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기술을 보유한 팀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나 팁을 주자면, 지금 당장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이 없더라도
선정 후 외주 제작 등을 활용한 기술 활용에 대해 작성해도 좋다.
초기창업패키지나 창업사관학교 등 정부 창업지원 사업은 예비 창업자를 뽑는 것이기에 현재 보유 기술이 아니어도 괜찮다.
나는 데이터 스크래핑 기술을 가지고 활용하는 사업아이템을 선정하였다.
2. 현실성
주제는 절대 허무맹랑하면 안 된다.
예를 들어, 우주를 가기 위한 방법이란 목표는 좋지만 정부 창업 지원 사업을 통해 예비 창업자가 당장 우주까지는 갈 수 없을 노릇이다.
때문에, 장기적인 목표를 바탕으로 단기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주제 설정이 필요하다.
정부지원사업에 있어서 주제의 현실성이라 하면 대체로 10개월의 지원 기간 동안 아웃풋을 낼 수 있는 아이템을 말한다.
나는 10개월의 기간 동안 제작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선정했다.
3. 사회 문제 해결 요소
사회적인 문제 해결 요소를 주제로 삼는 것은 부가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눈길이 안 갈 사람은 없고,
그것이 정부에서 주관하는 창업지원사업이라면
사회 문제 해결 요소는 부가적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나는 육아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플랫폼을 사업아이템으로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위 3가지 요소를 합해서 주제를 한 문장으로 만들면 된다.
000(ex. 빅데이터 등) 기술을 활용한 000(ex. 저출산, 부동산 등) 문제를 해결하는 000(모바일 앱 등) 서비스.
이렇게 작성하면 무리 없이 정부사업지원에 알맞은 주제가 될 것이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Alibaba)를 이용한 티셔츠 의류 제작 공장 찾기 - 1인 패션 브랜드 만들기(1부) (0) | 2023.08.20 |
---|---|
1인 패션 브랜드 만들기 (프롤로그) - 브랜드 런칭에 대한 결심 (0) | 2023.07.29 |
애드센스 활성화 신청 다섯번만에 성공 (0) | 2023.05.09 |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하여 (0) | 2023.01.23 |
유튜브가 아닌 블로그를 택한 이유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