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하여

2023. 1. 23. 21:38비즈니스

반응형

나에게 있어서 가장 큰 역량을 들자면 "소통능력"이다.

 

믿어도 좋다.

나는 20대 중 한 때, 졸업식 꽃 장사를 하며 말발로 정말 많은 꽃을 팔았으며,

직장생활 등 사회생활에서도 소통을 통해 어려움이나 안 풀릴 것 같은 문제 해결을 한 적이 수 없이 많다.

 

낯선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과 대화하며 즐거움을 얻는 나는 

시간이 지나며 소통의 노하우를 자연스럽게 깨달았다.

소통의 가장 중요한 노하우는 

가장 핵심은 마음에 달렸다.

그 무슨 뻔하고 말도 안 되는 이야기냐고 할 수 있지만 진짜이다.

 

물론 다양한 대화 스킬들을 이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나 역시 나만의 화법이나 스킬들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근본적인게 아니다.

근본적으로 대화를 잘하는 방법은 나에 대한 자신감과 상대방을 호기심, 호감과 설렘을 가지고 대하는 것이다.

 

나에 대한 자신감은 소통에 있어서 기본적인 필수 요소이다.

나에게 자신감이 있어야 상대방 역시 신뢰감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다음이 상대방에 대한 호기심과 설렘이다.

이제 갓 말을 시작하는 아이를 떠올려보자.

이제 갓 말을 하는 아이들은 "이건 왜 그래?", "그럼 저건 왜 그래?"처럼 끊임없이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다.

(물론 아이처럼 계속된 질문은 피로감을 쌓는다. 포인트는 대화의 포문을 여는 것이다.)

접촉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라.

별거 없다.

대화 여는 방법은 어떤 것이던지 상관없다.

무거운 주제만 아니면 된다.

예컨대 상대방이 컵을 들고 있다면,

"컵이 무거워 보이네요."

"컵 색깔이 이쁘네요."

"어떤 거 마시세요?"

"커피 드세요?"

등등 다양한 질문으로 시작할 수도 있다.

 

그다음에 상대방에 반응에 따라 대게 3가지 방안이 있다.

 

첫 번째, 상대방 중심의 이야기 전개하기

잘 먹힌다면 가장 효과 좋은 대화 방식이다.

상대에 대한 궁금함, 칭찬 혹은 느낀 점 등을 이야기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상황에서 커피를 마신다는 대답이면,

"커피를 좋아하시는 분 같았어요."

라고 대답하면 대부분은 그런 사람이 어떤지 묻거나, 커피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그 사람에 대해 더 알아갈 수 있는 상황이 오기 쉽다.

(이건 내 예시이고, 사람마다 스타일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포인트는 상대방 중심의 대화 화두를 던지는 것이다.

 

두 번째, 연관된 나에 관련한 이야기로 끌고 오기.

차선의 방식이다.

상대방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 마땅치 않다면 내 이야기를 섞는 것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그렇다고 내 이야기만 주구장창 해서는 안된다.

내 이야기 30을 섞고 이를 바탕으로 나머지 70을 상대방 중심의 이야기로 채워야 한다.

특히나, 대화의 고수라면 첫 번째 방식에 응용하여 상대방 중심 대화에

내 주관을 넣은 나의 이야기를 잠깐 채워 넣어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다.

 

세 번째, 감탄사 사용하기.

감탄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상대방의 이야기를 호응해 주며 이야기를 더욱 흥미롭게 끌고 갈 때,

또 하나는 이야기를 종료할 때이다.

적절한 감탄사 사용은 이야기의 윤활제가 된다.

상대방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들으며 "아 진짜요?", "오 그래서요?" 등 감탄사를 뱉는 것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가짜 감탄사는 티가 난다는 것이다.

진심을 다해 표현해야 한다.

 

대화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방의 반응에 따라 대화를 종료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방법으로 대화를 시도하거나 해도 상대가 시큰둥하거나 할 때, 

"아 좋네요!" 등의 감탄사로 대화를 종료할 수도 있다.

이 때는 더욱이 자신감과 여유를 가지고 말을 해야 한다.

상대방이 대화를 하고 싶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두려워하거나 실망하지 말아야 한다.

대화를 거는 것은 절대 실례되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나 즐거움의 시작일 뿐이다.

하지만, 대화를 하고 싶지 않은 상대를 붙잡고 계속 대화하는 것은 실례가 맞다.

상대방의 반응을 보고, 대화의 종료가 필요할 땐 과감히 종료하자.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실되게 말하는 것이다. 

위에 방법을 오해하고 잘못 실행할까 봐 첨언하자면,

대화 스킬은 상대방을 현혹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내 진심을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상대방 또한 나에게 진심으로 대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그렇게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과장, 거짓 등으로 대화를 해서는 결코 안된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설사 상대방이 어떻게 반응할지 몰라 두렵더라도

진심으로 자신을 내보여야 한다.

 

그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좋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가장 좋은 대화법이라고 믿는다. 

반응형